운영체제

일반적으로 하나의 OS를 설치하고 가상환경에 다른 OS를 설치해서 다중OS를 사용한다.
가상환경을 활용하면 오류발생시 가상환경만 바꾸면 되기 때문에 편리하다.

 

리눅스 구조

  1. 디렉토리 구조
  • 리눅스의 최상위 디렉토리(/root)
  • 리눅스커널의 메모리 이미지와 부팅과정에 필요한 중요한 정보 디렉토리(/boot)

 

  1. 주요 디렉토리
  •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들이 존재 (/bin)
  • super user인(관리자계정) root의 home 디렉토리 (/root)
  • 일반 user들의 home 디렉토리 (/home)
  • 시스템이나 유저를 관리하기위한 자료파일, 관리자용 명령이 존재 (/etc)
  • device 파일인 filesystem과 하드웨어간의 인터페이스 담당 (/dev)
  • 각종 언어의 라이브러리가 담긴 디렉토리 (/lib)
  • Remot Device를 이용하기 위한 디렉토리 (/mnt)
  • Local Device를 이용하기 위한 디렉토리 (/media)
  • 시스템 운영 및 관리를 위한 명령어가 존재 (/sbin)
  • root file system과 유사한구조로 용량이 크고 자주 사용하지 않는 파일이 존재 (/user)
  • kernel과 process정보를 읽을 수 있는 virtual filesystem (/proc)
  • 잠시 사용되는 임시파일을 위한 디렉토리 (/tmp)
  • log 파일처럼 자주 변경되는 system파일을 위한 디렉토리 (/var)

 

  1. 절대경로와 상대경로
  • 절대경로(완전경로) : 파일시스템 전체를 기준으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절대적인 위치 (/home/kakaotalk 같은 구체적 위치)
  • 상대경로 : 현재 작업하고 있는 디렉토리 기준의 경로

 

리눅스 prompt 구조

  • 시스템 계정, 사용자 계정
    • [로그인한 사용자 계정명@리눅스시스템호스트명 현재작업디렉토리]계정의유형 기본형태를 가짐
    • 계정정보는 관리자일경우 #, 일반사용자일경우 $ 로 사용

'Computer Science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리눅스] 데이터 저장  (1) 2022.09.23
[리눅스] 프로세스  (0) 2022.09.22
[리눅스] 허가권과 소유권  (0) 2022.09.22
[리눅스] 사용자 계정관리  (1) 2022.09.22
[리눅스] 기본 명령어  (0) 2022.09.22

+ Recent posts